네트워크 상에서 제공되는 경우,
대부분의 웹 프로젝트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태로 존재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웹 프로젝트는 요청을 받아 서버를 거쳐 브라우저에 제공된다.
구글, 네이버과 같은 브라우저를 열어서 검색 창에 특정 주소를 타고 들어갔을 때 일어나는 과정 살펴보자.
이는 개발한 웹 프로젝트를 배포하면 사용자가 어떻게 그 프로젝트를 사용하는지에 관한 내용이다. 지금부터 이 일련의 과정에 대해 계속 공부할 예정이다.
- 웹 애플리케이션 구조 및 동작 원리
: 웹 애플리케이션은 요청과 응답으로 동작한다. 웹 브라우저에 주소를 작성하여 [이동] 버튼을 클릭하는 것은 주소가 나타내는 페이지를 요청한 것에 해당한다. 또한, 로그인 폼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면 로그인 처리를 요청한 거이다. 로그인 요청이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될 때 사용자가 로그인 폼에 입력한 데이터도 같이 전달된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로그인 처리를 위해서 전달받은 로그인 폼 데이터(아이디, 비밀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로그인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고, 클라이언트한테 결과를 응답 페이지를 보낸다. 이러한 로그인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클라이언트 쪽과 서버 쪽으로 분리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쪽은 주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거나 서버 쪽에서 처리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일을 담당한다. 이렇게 웹 애플리케이션의 클라이언트 쪽 구현을 클라이언트 사이트(Client-Side)라 하고, 서버 쪽 구현을 서버 사이드(Server-Side)라고 한다. 클라이언트 사이드는 주로 뷰 페이지(View Page)를 구현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HTML, CSS, JavaScipt, JSP가 사용된다. 서버 사이드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흐름을 제어하는 부분을 서블릿(Servlet)으로 구현되고, 기능 구현 및 DB 처리 구현은 자바가 만든다.
- 웹 사이트의 동작 과정
- 웹사이트에서 검색창에 주소(EX..www.naver.com 등) 입력 :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해 브라우저 주소 표시줄에 원하는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브라우저에 웹 사이트의 기본 웹 페이지 또는 홈페이지가 표시된다. 또는 원하는 웹 사이트에 연결되어 있는 웹 사이트에서 링크를 타서 액세스하는 방법도 있다.
- 웹 사이트에서 해당 주소의 서버에 접속 요청 진행
- 서버에서 HTML 문서를 비롯한 각종 파일,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응답 : 웹 사이트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서버, server)**에서 정보를 가져와서 웹 브라우저에 보여준다. 이때, 서버에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면 보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웹 요소와 사용자 정보, 상품 정보 등의 여러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저장 가능하다.
- 웹사이트가 서버로부터 받은 문서를 실행
- 사용자들이 웹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는 HTML을 읽어 브라우저 화면에 나타난 결과이다.
- 웹 사이트(ft. 웹 빌더)
728x90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링크 (0) | 2024.07.25 |
---|---|
Web : 세션과 쿠키 비교하기 (0) | 2024.07.24 |
Web : 웹의 개념과 관련 용어 요점정리 (2) | 2024.07.24 |
Network : 무상태 특성 이해하기 (stateless, stateful) (0) | 2024.07.22 |
Network : 프로토콜의 종류 (7) DNS (0) | 2024.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