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로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는 CMD 창, IDE의 Terminal 창, git bash 등 다양하다. 때문에 본인 자주 사용하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 덧붙여 이제 설명할 브랜치명 변경 방법은 main->master에만 국한된 이야기는 아니니, 브랜치명을 변경하고 싶다면 해당 방법을 이용해보자.
✅ 명령어 : 브랜치명 변경
git branch -m (현재 브랜치명) (새 브랜치명)
Example : git branch -m master main
과거와 달리 요즘 깃허브 원격 저장소의 기본 브랜치(branch)명이 main이다. 그러나 로컬 저장소에서는 기본이 master로 되기 때문에 통일을 위해 변경해주는 예시를 위 코드에 추가했으니 참고바란다.
✅ 명령어 : 기본 브랜치명 고정
새로운 Repository를 만들 때마다 main으로 브랜치명을 변경해주어 하는데, 이런 과정을 생략하고 싶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주자. 그러면 앞으로의 로컬 저장소는 모두 해당 브랜치명이 될 것이다.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브랜치명)
Example :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 명령어 : 브랜치명 확인
git branch
728x90
'About Project > Too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man : 사용방법 (0) | 2024.08.09 |
---|---|
IntelliJ : 프로그램(화면 창) 여러 개 띄우는 방법 (0) | 2024.08.09 |
GitHub Repository (4) 인텔리제이에서 깃허브 연동하는 방법 (0) | 2024.07.31 |
GitHub Repository (3) 원격 저장소 연결하는 방법 (2) | 2024.05.22 |
GitHub Repository (2) 로컬 저장소 초기화하는 방법 (0) | 2024.05.22 |